컨텐츠 바로가기

인천청년공간 남동구 청년꿈터


삼성전자, 테슬라와 손 잡고 8만전자 갈 수 있을까?

  • 작성자
    이사라(청년공간 남동)
    작성일
    2025년 7월 31일(목) 19:19
  • 조회수
    74
  • 분야
    진로·취업
    대상
    기타
  • 지역
    인천시전체
첨부파일

삼성전자-006.png 이미지 삼성전자-006.png (1MByte) 사진 다운받기

 7월 28일 삼성전자는 22조 7648억 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어요. 상대는 바로 테슬라였고요.
 이는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액의 무려 7.6%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삼성전자 최대급 계약이에요(반도체 부문 단일고객 기준) 

 자세히는, AI6칩이라는 첨단 자율주행용 칩셋을 생산하기 위한 계약이죠.

 

 🔍 AI6칩이 뭐길래?
  • AI6는 테슬라의 차세대 자율주행용 SoC(System-on-Chip)예요.
  • 2나노급 초미세공정으로 설계되며, 성능은 이전 세대 AI5 대비 2배 수준 (약 5,000~6,000 TOPS) 으로 알려져 있어요
  • AI4는 삼성, AI5는 TSMC가 제작 중이고, 이제 AI6는 삼성의 텍사스 Taylor 팹에서 전담 생산합니다
  • 이 칩은 테슬라 차량의 Full Self-Driving(FSD), Optimus 로봇, 그리고 데이터센터 인프라에도 쓰일 예정이에요

 

 📈 삼성전자 주가, 뭐가 기대되나요?
  • 이 소식이 공개된 후, 삼성전자 주가는 약 6.83% 상승, 7만 원대를 회복했어요.
  •삼성전자가 7만 원 선을 회복한 것은 지난해 9월 4일 이후 10개24일 만이에요.
  • 파운드리 부문 적자 5조 원 이상이었던 올해 상반기 상황을 반전할 수 있는 희망으로 분석되고 있어요
  • 증권가에선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이번 계약으로 반등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눈높이를 올리고 있다고해요. -한국경2025.07.29 

 

 🏭 이번 계약의 산업 의미는?
  •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은 여전히 TSMC(약 67% 점유율) 뒤 2위(약 8%)지만, 이번 계약은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증명한 신호탄이에요
  • 특히 Taylor 팹은 2026년부터 본격 가동 예정, 이곳에서 AI6를 생산하며 미국 내 반도체 인프라 확충에도 기여해요
  • 테슬라와 협조해 ‘제조 효율성’을 함께 개선하기로 한 부분도 AI칩사업에서 주목되는 부분이에요


🎓 청년들에게 한 줄 요약 
반도체는 여전히 미래 산업의 핵심이에요!

이번 삼성의 대형 계약은 한국 반도체 산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테니,

투자나 진로 고민할 때 ‘파운드리’와 ‘시스템 반도체’ 키워드는 꼭 기억해두시길 바라요. 

AI 시대, 청년 여러분이 관심을 둬야 할 중요한 키워드는 ‘AI칩’, ‘파운드리’, ‘시스템반도체’로 요약해볼게요 🙂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si=FqsloFZnlp2vt6Mh&embeds_referring_euri=https%3A%2F%2Fwww.nocutnews.co.kr%2Fnews%2F6377017%3Futm_source%3Dnaver%26utm_medium%3Darticle%26utm_campaign%3D20250729010139&embeds_referring_origin=https%3A%2F%2Fwww.nocutnews.co.kr&source_ve_path=Mjg2NjQsMTY0NTA2&v=aTnd-fvCcAE&feature=youtu.be https://newneek.co/@headlight/article/34400

https://www.nocutnews.co.kr/news/6377017?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729010139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8_0003269066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2817100001933?did=NA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861385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 출처표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