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판 ‘민생지원금’? 관세로 번 돈, 국민에게 돌려주게 될까
민생지원금-007.png (2MByte) 사진 다운받기
미국의 관세 수입으로 미국인이 현금을 받는다고?
🧾 무슨 일이야? 미국 공화당 조시 홀리 상원의원이 ‘미국 근로자 환급법(American Worker Rebate Act)’을 발의했어요.
핵심 내용은 간단해요:
• 미국 성인 1명당 최소 600달러(약 83만 원) 환급
• 부양 자녀에게도 동일한 금액 지급
• 관세 수입이 많이 걷히면 환급액 더 늘릴 수도 있음 이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어요.
트럼프는 세계 각국에 매긴 관세 수입을 미국 국민에게 현금으로 돌려주겠다는 입장을 여러 번 밝혀왔죠.
실제로 그는 7월 25일 기자회견에서 “환급을 고려하고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 왜 이런 법이 나왔을까?
배경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어요.
1. 관세로 비싸진 수입품
◦ 관세는 외국에서 들어오는 물건에 매기는 세금이에요.
◦ 트럼프는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관세를 올렸지만, 그 부담은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떠안는 구조가 되었죠
◦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은 관세 인상으로 연평균 약 2,400달러를 더 쓰게 됐다고 해요.
2. 정치적 전략
◦ 2024년에 이어 2028년 대선을 준비 중인 트럼프 측 공화당은 “바이든 정부가 무너뜨린 가계를 다시 일으킨다”는 메시지를 내세우고 있어요.
◦ 이 법은 유권자들에게 “우리는 당신의 지갑을 책임진다”는 강력한 신호가 될 수 있죠.
3. 과거 CARES 법안 따라하기?
◦ 코로나 시기, 바이든 정부는 CARES 법으로 성인 1인당 최대 1,200달러를 지급했었죠.
◦ 이번 ‘관세 환급법’도 비슷한 구조지만, 재원은 코로나 구호가 아닌 관세 수입이라는 차이점이 있어요.
📊 관세 수입이 그렇게 많아?
네, 엄청 나요.
CNBC는 미국 재무부를 인용해 "단일 회계연도 관세 징수액이 사상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보도했어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 수치가 연간 3000억 달러까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어요.
🧠 그럼 물가엔 어떤 영향? 여기서부터는 논쟁이 있어요.
✅ 장점 - 관세로 오른 물가 부담을 국민 환급으로 일부 상쇄
- 소비 진작, 내수 안정화 효과 기대
⚠️ 우려 - 현금 지급은 곧 소비 증가→ 인플레이션 자극 우려
- 특히 2023년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 구호금 지급 후 인플레이션 2.6%p 상승했다는 분석도 있어요
조세 전문가들은 “결국은 국민이 자기 돈으로 자기 물가를 올리는 결과일 수도 있다”는 지적도 하고 있어요.
🧭 그럼 이 법, 실제로 통과될까?
• 아직은 ‘법안 발의 단계’예요. 통과까지는 갈 길이 멀어요.
• 하원·상원 통과와 재정적 영향 평가, 대통령 서명 등의 절차가 남아 있어요.
• 특히 민주당이 다수인 상원에선 재정 건전성, 인플레이션 위험 등을 이유로 반대할 가능성도 커요.
“관세로 번 돈, 미국 국민에게 준다”는 공화당식 민생정책, 트럼프 시대 부활 예고편일지도 몰라요.
🌐 우리들에게 주는 시사점은?
1. 글로벌 소비 흐름 변화
◦ 미국 소비자가 환급금을 받으면 → 수입 제품 수요 증가 가능성
◦ 특히 한국 전자·가전·자동차 등 대미 수출기업 수혜 가능성
2. 무역 긴장감 상승
◦ 관세 정책은 국제 무역 갈등으로 번질 수 있어요.
◦ 우리나라 기업들은 수출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생길 수 있어요.
3. 정치 경제 흐름을 읽는 능력
◦ 청년 구직자나 창업자라면 정치가 경제를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사례에요!
미국판 민생지원금, 과연 예상대로 실현될지
꿈터청년 여러분도 함께 지켜보아요!
참고자료:
뉴닉 '관세로 번 돈, 미국인들에게 쏜다? ‘관세 환급법’ 발의한 공화당' 에디터 오월 25.07.30
머니투데이 "83만원씩" 미국도 현금 지급?…"관세로 번 돈 나눈다" 법안 발의' 김하늬 기자 25.07.30
조세일보 '"관세로 번 돈, 국민에게"...트럼프, '관세 환급금' 지급 추진 시사' 김상희 기자 2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