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순이/빵돌이 살기 힘든 대한민국? 빵플레이션에 대하여
빵플레이션_-016.png (1MByte) 사진 다운받기
안녕하세요, 청년꿈터에요.
최근 구독자 360만 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 운영자 전석재 씨(활동명 슈카)가
팝업스토어에서 소금빵을 990원이라는 너무 저렴한 가격으로 팔아서 논란이 되었어요.
‘빵플레이션(Bread + Inflation)’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길 정도로 평균 빵값이 오른
우리나라의 상황과, 그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해요.
1. "빵값, 진짜 너무 올랐죠?"
슈카팝업스토어에서 소금빵을 990원에 파는 모습이 화제를 일으킨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몰라요.
일반 프랜차이즈 소금빵 가격이 3000원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1/3 수준의 가격이었으니까요.
한국의 식빵(500g) 평균 가격은 약 2.98달러(약 4,150원)로, 전 세계 10위, 아시아 1위 수준이에요.
(출처: https://news.nate.com/view/20250903n13043?utm_source=chatgpt.com)
최근 빵 물가 지수는 전년 대비 6.5% 상승, 전체 물가상승률(1.7%)보다 훨씬 높아요.
2. 한국 빵값이 비싼 이유, 종합선물세트처럼 복합적이에요
- 복잡한 유통 구조
수입사→도매상→소매까지 여러 단계가 있고, 각 단계마다 마진이 붙어 가격이 올라요.
- 재료 수입 의존도 높음
밀가루, 설탕, 달걀 등 주요 재료의 가격 상승이 곧바로 빵값에 반영됩니다. 특히 설탕 시장은 소수 기업이 과점 중이어서 가격 경쟁이 어렵고요.
- 인건비 부담도 매우 커요
제빵업체 인건비 비중은 약 28.7%로, 식품제조업 평균(8.1%)의 3배 수준이에요.
- 소비자 선호와 경쟁 구조
한국 소비자들은 토핑이 풍부한 고퀄리티 빵을 선호하고, 동네에도 빵집이 너무 많아 (2012년 1만→2023년 2만8천여 개), 마케팅비나 포장비 등이 추가로 들어요.
이번 논란을 계기로, 높아진 빵 가격에 대한 문제제기가 크게 일어났지만,
그 원인이 복잡한 이유들로 섞여있는 탓에 평균 빵 가격이 내려갈 것을 기대하긴 어려울 것 같아요.
대대적인 조사를 진행한 공정위 역시 이에 대한 명확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구요.
“요즘 빵 하나도 쉽게 고르기 어렵다”는 말, 저도 공감이에요.
우리 함께 빵값 구조를 이해하고, 공정한 가격에 대한 고민도 함께해보면 좋겠어요.
청년꿈터를 방문하는 여러분은 한국 빵 가격 어떻게 생각하세요? 또 슈카의 990원 소금빵 논란은 어떻게 바라보고 계신가요?
청년꿈터는 청년들의 현실적인 수다와 의견은, 언제나 환영한답니다!
참고자료: https://news.nate.com/view/20250903n13043?utm_source=chatgpt.co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90273387 https://newneek.co/@newneek/article/35296 https://newneek.co/@gmmbrand/article/35275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50901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