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가 이곳저곳...? “러브버그” 정체가 뭘까
4._러브버그.png (1MByte) 사진 다운받기
최근 거리나 차창에 붙어 있는 검은 벌레들, 다들 한 번쯤 보셨죠?
‘러브버그’라고 불리는 이 곤충, 왜 이렇게 갑자기 많아진 걸까요?
보기엔 조금 징그럽지만, 사실은 생태계에 꽤 유익한 역할을 한다고 해요.
인천 청년분들이 궁금해하실 만한 출몰 시기부터 방역 방법, 퇴치 팁까지 이번 꿈터레터에서 알차게 정리해드릴게요!
🐛 러브버그, 이름은 귀엽지만 정체는?
• 러브버그는 ‘붉은 등우단털파리’라는 곤충으로, 암수가 짝짓기 상태로 붙어 다니는 모습이 특징이에요.
• 사람을 물거나 독이 있는 벌레는 전혀 아니며, 유충 시기에는 낙엽이나 유기물을 분해해서 흙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성충은 꽃가루를 옮기며 수분 작용에도 도움을 주는 곤충이에요.
보기엔 조금 당황스러워도, 알고 보면 생태계의 조력자랍니다.
📆 출몰 시기와 이유는요?
• 6월 중순부터 7월 초 사이, 고온다습한 날씨에 가장 활발하게 나타납니다.
• 특히 비 온 뒤, 도심의 조명, 도로열기,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 이끌려 도로변, 주차장, 공원 근처에 많이 모여드는 특징이 있어요. 서울, 인천, 경기 일부 지역은 최근 기온과 습도 조건이 맞아 대량 발생 중입니다.
💡 꼭 퇴치해야 할까? 사실은 ‘익충’이에요 러브버그는 보기와 달리 사람에게 해가 없는 무해한 곤충이에요.
그래도 생활 속 불편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필요하겠죠. 그럴 때는 아래 팁을 참고해보세요!
🧹 청년을 위한 실용 방역・대응 꿀팁
🏠 실내에서
• 창문 틈, 방충망 꼼꼼히 점검해주세요.
• 밤에는 밝은 조명 대신 따뜻한 색조의 조명을 쓰면 접근을 줄일 수 있어요.
• 실내에는 거의 들어오지 않지만, 만약 대비하고 싶다면 식초, 레몬즙, 페퍼민트 오일 등을 희석해 분사하면 예방 효과가 있어요.
🚶♂️ 야외에서
• 활동이 활발한 오전 10시~오후 3시 사이 야외 활동은 가급적 피해주세요.
• 밝은 옷보다는 어두운 계열의 옷이 더 안전합니다. (러브버그는 밝은 것을 좋아해요!)
• 야외 조명은 되도록 줄이거나 노란빛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 차량・창문 관리
• 차량 전면 유리에 많이 붙기 때문에, 젖은 수건이나 물로 부드럽게 닦아내기
• 체액이 남으면 차량 도장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되도록 빨리 세차하는 것이 좋아요.
• 손으로 문지르기보단 살짝 툭툭 털어내는 정도가 가장 좋습니다.
🇺🇸 미국에서 러브버그 박멸에 성공? 러브버그는 원래 미국 플로리다에서 자주 보이던 곤충이었지만, 최근에는 도심에서 거의 자취를 감췄다는 보고도 있어요.
• 이유는 도시화, 농약 사용 증가, 기후 변화, 인공조명 과다 노출 등 인간의 환경 변화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어요.
우리와의 관계도, 생태계도 변화 중이라는 걸 생각해보게 되죠.
🌿 러브버그는 짧게 스쳐 지나가는 여름의 손님이에요.
불편함은 최소화하고, 걱정은 줄일 수 있도록 미리 알고 준비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우리 일상에 소소한 불편을 주는 존재들도 알고 보면 자연의 한 부분이란 걸 기억해 주세요!
🌈 청년꿈터는 여름에도 시원하게 운영 중이에요!
• 빈백에서 쉴 수 있고, 스터디도 할 수 있어요.
•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져도 괜찮아요,
• 꿈터는 평일 9~21시, 토요일 10~3시 열려 있어요.
• 그리고 꿈터는.. 러브버그로부터 조금 안전할지도..?
출처 및 참고자료: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630_0003233447https://www.yna.co.kr/view/AKR20250630125600518?input=1195mhttps://www.woman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503